안녕하세요. 농촌 지역의 의료접근성이 낮은 농민의 안정적인 생활과 복지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농업인 건강·연금보험료 지원 제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Ⅰ. 농업인 건강보험 지원
1. 지원목적: 의료 이용의 접근성이 낮은 농촌 거주 농업인에게 대하여 건강보험료 일부를 지원하여 농업인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 도모
2. 지원대상: 농촌·준농촌 거주 지역가입 농업인
➀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세대) 중 주소지가 농촌 또는 준농촌 지역에 해당하면서 농업, 축산, 임업에 종사하는 자
➁ 제외대상: 건강보험료 부과점수 2,501점 이상 농업인
3. 지원내용: 농업인이 부담할 건강보험료의 월 최대 28% 차등지원
*건강보험료 부과점수에 따라 차등지원(국민건강보험법 상 농어촌지역 보험료 22% 별도 경감)
➀ 건강보험료 부과점수 1,801점 미만: 정률지원(건강보험료의 28% 지원)
➁ 건강보험료 부과점수 1,801점 이상~2,501점 미만: 정액지원(보험료 부과점수 1,801점에 해당하는 건강보험료의 28%)
➂ 건강보험료 부과점수 2,501점 이상: 지원제외
4. 지원시기: 수시
5. 신청방법: 신청서 작성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
➀ 방문신청: 농업인 건강보험료 지원 신청(확인)서 작성 후 읍면동장 확인을 거쳐 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에 제출
➁ 제출서류: 농업인 건강보험료 지원 신청서(확인서), 농업경영체 등록 확인서
※ 자격요건을 반드시 확인하여 신청
6. 문의: 건강보험(☎1577-1000, www.nhis.or.kr)
Ⅱ. 농업인 국민연금 지원
1. 지원목적: 농산물 수입개방으로 여건이 어려운 농촌 지역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국민연금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하여 농업인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 도모
2. 지원대상: 국민연금 지역가입 또는 지역임의 계속가입 농업인
➀ 농업인 지역가입자, 농업인 지역임의계속가입자
➁ 보험료를 납부하는 월에 대해서만 국고보조금이 지원되며(체납보험료 포함), 지역가입자라 하더라도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원되지 않음
➂ 제외대상: 종합소득이 6천만 원 이상인 자, 재산세 과세표준의 합계액이 12억 원 이상인 자, 주소가 변동되는 등 더 이상 농업에 종사하지 않게 된 경우
3. 지원내용: 농업인이 부담할 연금보험료의 월 최대 50% 차등지원
➀ 국고보조대상자 1인당 월별 지원금액은 기준소득월액 1,030,000원(보험료 92,700원) 이하인 경우 본인 보험료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
➁ 기준소득월액 1,030,000원 초과의 경우 1,030,000원 보험료 50%에 해당하는 금액(46,350원)을 정액 지원
➂ 가입자가 매월 납부할 연금보험료에서 지원금액을 공제한 후 고지
♠ 최대 지원월액이 2023년부터는 46,350원으로 상향됨
기준소득월액 | 월 보험료 | (2022년) 지원월액 | (2023년) 지원월액 |
1,000,000원 | 90,000원 | 45,000원 | 45,000원 |
1,030,000원 | 92,700원 | 45,000원 | 46,350원 |
2,000,000원 | 180,000원 | 45,000원 | 46,350원 |
4. 지원시기: 수시
5. 신청방법: 신청서 작성 후 국민연금공단에 신청
➀ 방문신청: 국민연금 농업인 확인서 작성 후 이·통장 확인(1차) 및 읍면동장 확인(2차) 후 국민연금공단(지사) 제출
➁ 신청(신고) 이전부터 농업에 종사를 한 사실이 확인될 경우는 신청일 직전 6개월 내에서 소급적용 신청(신고)이 가능
➂ 단, 농업경영체 등록자는 기관 간 자료 연계로 공단 내 전산을 통해 확인이 가능한 바, 별도 증빙서류 제출 없이 국민연금공단에 바로 신청 가능
➃ 가입자 본인이 신청 단,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배우자 및 기타 그 가족이 신고를 대리할 수도 있음
➄ 제출서류: 연금보험료 확인서(농어업인 보험료 지원),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 신청서
※ 자격요건을 반드시 확인하여 신청
6. 문의: 국민연금(☎1355, www.nps.or.kr)
농업인 건강보험 지원 및 국민연금 지원 제도를 잘 알아보고 신청하여 농업인의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도움을 받고, 안정적인 생활과 복지 증진을 통해 행복한 농촌 생활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