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인의 밥상, 제주 '월동무' & 제주 '당근', 땅의 기운을 품은 토종 뿌리 채소들!

by 호자나무 2025. 2. 12.

한국인의밥상-제주-월동무-당근
이미지 출처: KBS '한국인의 밥상'

모든 생명이 움츠러드는 겨울, 얼어붙은 땅속에서는 보이지 않는 생명의 움직임이 계속됩니다. 차가운 바람을 온몸으로 견디며 더욱 단단해지는 뿌리채소들. 혹독한 날씨 속에서도 삶을 이어가는 농부들의 노고가 깃든 이 소중한 식재료들을 만나봅니다.

 

 

 

◈ 차가운 바람을 견디며 자란 제주 ‘월동무’

한국인의밥상-제주-월동무
이미지 출처: KBS '한국인의 밥상'

▶ 제주 월동무 주문은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제주 ‘월동무’ 주문

 

 

제주도 성산읍 신풍리는 한겨울에도 푸른 들판이 펼쳐진 곳입니다. 전국 월동무 생산량의 절반을 책임지는 이곳은 겨울이 오히려 가장 바쁜 계절입니다. 무는 제주에서 ‘놈삐’라 불리며 예부터 겨울 식량으로 소중히 여겨졌습니다. 한때 약이 귀하던 시절, 기침을 멈추게 하려고 무를 조려 만든 무조청을 먹이던 어머니들의 손길이 떠오릅니다.

한국인의밥상-제주-월동무
이미지 출처: KBS '한국인의 밥상'

또한, 제주 전통 음식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접짝뼈국’입니다. 돼지 앞다리뼈와 무를 푹 고아 만든 이 국은 잔칫날에나 맛볼 수 있는 귀한 음식이었죠. 여기에 얇게 부친 메밀반죽에 무채를 올려 돌돌 말아낸 ‘빙떡’, 노릇하게 구운 옥돔구이까지 곁들이면 그야말로 제주 겨울 밥상의 정수를 느낄 수 있습니다. 척박한 땅에서 자연의 선물을 얻으며 살아온 제주 사람들의 지혜와 삶의 흔적이 스며 있는 음식들입니다.

 

 

 

◈ 돌담이 지켜온 제주, 그리고 토종 뿌리채소들

제주시 구좌읍은 전국 당근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최대 주산지입니다. 바람이 거센 제주에서 밭을 보호하는 것은 다름 아닌 ‘돌담’입니다. 척박한 땅을 일구던 선조들이 하나하나 쌓아 올린 돌담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살아가는 제주 사람들의 삶을 보여줍니다.

한국인의밥상-제주-당근
이미지 출처: KBS '한국인의 밥상'

이곳에서 만난 김슬기(46)·김우람(45) 남매는 초보 농부로서 제주의 삶에 적응해가고 있습니다. 해녀들이 쓰던 도구인 ‘비창’을 이용해 당근을 조심스럽게 수확하는가 하면, 제주에서만 자라는 토종 흰고구마와 단지무 농사도 짓고 있습니다.

▶ 제주 '햇당근' 주문은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제주 ‘햇당근’ 주문

 

 

특히, 당근 농사만 50년을 지어온 이인순(80) 어르신을 위해 남매가 특별한 요리를 준비합니다. 무 대신 당근을 넣어 만든 당근깍두기, 채 썬 당근을 달달 볶아 올린 당근밥, 그리고 배고픈 시절 속을 든든하게 채워주던 흰고구마메밀범벅과 무콩국까지. 서로에게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주는 마을 사람들과 함께하는 따뜻한 식사 한 끼는 겨울을 이겨내는 힘이 됩니다.

한국인의밥상-제주-당근
이미지 출처: KBS '한국인의 밥상'

겨울을 견디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더욱 깊고 단단해지는 생명들. 땅의 기운을 품고 자란 뿌리채소들이 주는 힘을 통해, 자연과 사람, 그리고 삶의 지혜를 다시금 돌아보게 됩니다.

한국인의 밥상, 오대산 가는길, 평창군 진부면, 노인봉과 송천약수

 

한국인의 밥상, 오대산 가는길, 평창군 진부면, 노인봉과 송천약수

겨울이 가장 겨울다운 곳, 가장 먼저 겨울이 찾아오고 가장 늦게까지 머무는 산, 오대산.동서남북으로 펼쳐진 다섯 개의 봉우리가 웅장한 자태를 뽐내며, 이름 그대로 '오대(五臺)'의 품을 자랑

skarnd74.tistory.com

한국인의 밥상, 울진 고사리나물, 화성 묵두루치기, 문경 화담마을 콩가루시래기찜

 

한국인의 밥상, 울진 고사리나물, 화성 묵두루치기, 문경 화담마을 콩가루시래기찜, 따스한 맛의

겨울은 어머니의 온기가 더욱 간절히 그리워지는 계절입니다. 궁핍했던 시절, 겨울의 추위는 가난한 이들에게 더없이 매서웠지만, 그런 환경에서도 가족을 위해 밥상을 차려낸 어머니들의 손길

skarnd74.tistory.com

 

반응형